맨위로가기

아트 로스 트로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트 로스 트로피는 아서 하위 "아트" 로스가 1947년 NHL에 기증한 트로피로, NHL 정규 시즌 최고 득점 선수에게 수여된다. 엘머 라흐가 1947년 시즌 첫 번째 트로피를 수상했으며, 고디 하우, 바비 오어, 스탠 미키타, 웨인 그레츠키 등 여러 선수들이 이 트로피를 여러 번 수상했다. 웨인 그레츠키는 10번으로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코너 맥데이비드는 21세 이전에 여러 번 트로피를 수상한 유일한 선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NHL 상 - 잭 애덤스 상
    잭 애덤스 상은 NHL에서 뛰어난 지도력을 보여준 감독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NHL 감독 협회 추천 후보를 대상으로 투표를 통해 수상자를 결정하며 1974년부터 수여되었다.
  • NHL 상 - 윌리엄 M. 제닝스 트로피
    윌리엄 M. 제닝스 트로피는 NHL에서 정규 시즌 최소 실점 팀의 골키퍼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뉴욕 레인저스 이사이자 미국 아이스하키 발전에 기여한 윌리엄 M. 제닝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패트릭 로이와 마르틴 브로듀어가 최다 수상, 몬트리올 캐나디언스가 최다 수상 팀이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아트 로스 트로피
기본 정보
수여 대상정규 시즌 종료 시점 리그 득점 선두 선수
첫 시상1947–48 NHL 시즌
최다 수상웨인 그레츠키 (10회)
최다 수상 팀에드먼턴 오일러스
로스앤젤레스 킹스
최근 수상자니키타 쿠체로프 (2회)
최근 수상 팀탬파베이 라이트닝
웹사이트NHL.com

2. 역사

아서 하위 "아트" 로스가 1947년 NHL에 기증한 아트 로스 트로피는 NHL 정규 시즌 최고 득점 선수에게 수여된다.[1] 몬트리올 캐나디언스의 엘머 라흐가 시즌 첫 번째 트로피를 수상했다.

1951년부터 1970년대까지 고디 하우, 버니 제프리온, 디키 무어, 바비 헐, 스탠 미키타, 필 에스포시토, 바비 오어 등 여러 선수들이 아트 로스 트로피를 여러 번 수상했다. 특히, 고디 하우는 이 기간 동안 6번 트로피를 수상하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바비 오어는 1970년과 1975년에 보스턴 소속으로 득점왕을 차지하며, 수비수로서 유일하게 아트 로스 트로피를 수상한 선수가 되었다. 또한 1970년에는 하트, 노리스, 콘 스마이트 트로피까지 휩쓸며 한 시즌에 4개의 개인상을 수상하는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2]

스탠 미키타는 1966년과 1967년에 시카고 소속으로 아트 로스, 하트, 레이디 잉 트로피를 동시에 석권하며 NHL 역사상 유일한 기록을 두 번이나 달성했다.

시즌에는 바비 헐이 앤디 배스게이트와 득점 동률을 이루었으나, NHL 규정에 따른 첫 번째 타이브레이커인 최다 득점에서 앞서 트로피를 수상했다.[1]

2. 1. 초기 역사 (1947년 ~ 1970년대)

아서 하위 "아트" 로스가 1947년 NHL에 기증한 아트 로스 트로피는 NHL 정규 시즌 최고 득점 선수에게 수여된다.[1] 몬트리올 캐나디언스의 엘머 라흐가 시즌 첫 번째 트로피를 수상했다.

1951년부터 1970년대까지 고디 하우, 버니 제프리온, 디키 무어, 바비 헐, 스탠 미키타, 필 에스포시토, 바비 오어 등 여러 선수들이 아트 로스 트로피를 여러 번 수상했다. 특히, 고디 하우는 이 기간 동안 6번 트로피를 수상하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바비 오어는 1970년과 1975년에 보스턴 소속으로 득점왕을 차지하며, 수비수로서 유일하게 아트 로스 트로피를 수상한 선수가 되었다. 또한 1970년에는 하트, 노리스, 콘 스마이트 트로피까지 휩쓸며 한 시즌에 4개의 개인상을 수상하는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2]

스탠 미키타는 1966년과 1967년에 시카고 소속으로 아트 로스, 하트, 레이디 잉 트로피를 동시에 석권하며 NHL 역사상 유일한 기록을 두 번이나 달성했다.

시즌에는 바비 헐이 앤디 배스게이트와 득점 동률을 이루었으나, NHL 규정에 따른 첫 번째 타이브레이커인 최다 득점에서 앞서 트로피를 수상했다.[1]

2. 2. 그레츠키, 르미외, 야그르 시대 (1980년대 ~ 2000년대 초)

1981년부터 2001년까지 20년 동안 웨인 그레츠키, 마리오 르뮤, 야로미르 야그르 단 세 명의 선수만이 아트 로스 트로피를 수상했다.[1] 이 기록은 2002년 제롬 이기글라가 트로피를 수상하면서 끝났다.[1]

그레츠키는 NHL 경력 20년 동안 10번(7번 연속)으로 최다 수상 기록을 가지고 있다.[1] 고디 하우와 르뮤는 각각 6번 수상했으며, 에스포시토, 야그르, 그리고 맥데이비드는 각각 5번 수상했다.[1] 체코 출신의 야그르는 비(非) 캐나다 출신 선수 중 가장 많은 횟수를 수상했다.[1] 1994-95 시즌에는 야그르가 에릭 린드로스와 동점을 이루었으나, 야그르가 더 많은 골을 기록하여 타이브레이커로 승리했다.[1]

2. 3. 2000년대 이후 ~ 현재

1981년부터 2001년까지 20년 동안 웨인 그레츠키, 마리오 르뮤, 야로미르 야그르 단 세 명의 선수만이 아트 로스 트로피를 수상했다.[1] 이 기록은 2002년 제롬 이기글라가 트로피를 수상하면서 끝났다.[1]

2007년, 시드니 크로스비는 19세의 나이로 아트 로스 트로피를 수상한 최연소 선수가 되었으며, 북미 주요 프로 스포츠 역사상 최연소 득점왕이 되었다.[3] 헨릭과 다니엘 세딘은 각각 2010년과 2011년에 이 상을 수상한 유일한 형제이다.[4] 크로스비보다 거의 두 배나 나이가 많은 마르탱 생루이는 37세의 나이로 아트 로스 트로피를 수상한 최고령 선수이자 득점왕 타이틀 사이의 가장 긴 간격(9년)을 기록했다.[1]

2001년 이후, 2007년과 2014년에 시드니 크로스비, 2009년과 2012년에 말킨, 2004년과 2013년에 생루이, 2017, 2018, 2021, 2022 그리고 2023년에 맥데이비드, 2019년과 2024년에 쿠체로프 단 다섯 명의 선수만이 이 상을 두 번 이상 수상했다.[1] 맥데이비드웨인 그레츠키는 21세 이전에 여러 번 아트 로스 트로피를 수상한 유일한 선수이다.[1]

3. 기록 및 특징

아트 로스 트로피에 관한 기록 및 특징은 NHL.com과 Legends of Hockey.net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최다 수상

3. 2. 기타 기록

아트 로스 트로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NHL 공식 웹사이트([http://www.nhl.com/ice/page.htm?id=24960])와 Legends of Hockey.net([https://web.archive.org/web/20070807064352/http://www.legendsofhockey.net/html/silver_splashartross.htm])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3. 동점 및 타이브레이커

4. 수상자 목록

웨인 그레츠키, NHL 통산 10회 우승자이자 통산 득점 1위


고디 하우, 6회 우승


마리오 르미외, 6회 우승


필 에스포지토, 5회 우승


야로미르 야그르, 5회 우승


코너 맥데이비드, 5회 우승


스탠 미키타, 4회 우승


기 라플뢰르, 3회 우승


|thumb|예브게니 말킨(왼쪽)와 시드니 크로스비(오른쪽), 둘 다 2회 우승]]

|thumb|200px|헨릭 세딘(위)과 다니엘 세딘(아래), 2년 연속 우승]]

'''굵게''' 표시된 선수는 한 시즌에 가장 많은 포인트를 기록한 선수입니다.

아트 로스 트로피 수상자
시즌수상자포인트우승 횟수
몬트리올 카나디앵스611
시카고 블랙 호크스681
디트로이트 레드윙스781
디트로이트 레드윙스861
디트로이트 레드윙스862
디트로이트 레드윙스953
디트로이트 레드윙스814
몬트리올 카나디앵스751
몬트리올 카나디앵스881
디트로이트 레드윙스895
몬트리올 카나디앵스841
몬트리올 카나디앵스962
시카고 블랙 호크스811
1960–61몬트리올 카나디앵스952
시카고 블랙 호크스842
디트로이트 레드윙스866
시카고 블랙 호크스891
시카고 블랙 호크스872
시카고 블랙 호크스973
시카고 블랙 호크스973
시카고 블랙 호크스874
보스턴 브루인스1261
보스턴 브루인스1201
보스턴 브루인스1522
보스턴 브루인스1333
보스턴 브루인스1304
보스턴 브루인스1455
보스턴 브루인스1352
몬트리올 카나디앵스1251
몬트리올 카나디앵스1362
몬트리올 카나디앵스1323
뉴욕 아일랜더스1341
로스앤젤레스 킹스1371
에드먼턴 오일러스1641
에드먼턴 오일러스2122
에드먼턴 오일러스1963
에드먼턴 오일러스2054
에드먼턴 오일러스2085
에드먼턴 오일러스2156
에드먼턴 오일러스1837
피츠버그 펭귄스1681
피츠버그 펭귄스1992
로스앤젤레스 킹스1428
로스앤젤레스 킹스1639
피츠버그 펭귄스1313
피츠버그 펭귄스1604
로스앤젤레스 킹스13010
피츠버그 펭귄스701
피츠버그 펭귄스1615
피츠버그 펭귄스1226
피츠버그 펭귄스1022
피츠버그 펭귄스1273
피츠버그 펭귄스964
피츠버그 펭귄스1215
캘거리 플레임스961
콜로라도 애벌랜치1061
탬파베이 라이트닝941
보스턴 브루인스/산호세 샤크스1251
피츠버그 펭귄스1201
워싱턴 캐피털스1121
피츠버그 펭귄스1131
밴쿠버 캐넉스1121
밴쿠버 캐넉스1041
피츠버그 펭귄스1092
탬파베이 라이트닝602
피츠버그 펭귄스1042
댈러스 스타스871
시카고 블랙호크스1061
에드먼턴 오일러스1001
에드먼턴 오일러스1082
탬파베이 라이트닝1281
에드먼턴 오일러스1101
에드먼턴 오일러스1053
에드먼턴 오일러스1234
에드먼턴 오일러스1535
탬파베이 라이트닝1442


참조

[1] 웹사이트 Art Ross Trophy http://www.nhl.com/i[...] National Hockey League 2007-08-20
[2] 뉴스 Bobby Orr – Biography http://www.legendsof[...] 2007-09-19
[3] 뉴스 Penguins' Crosby captures Art Ross Trophy as NHL scoring champion https://archive.toda[...] 2007-04-09
[4] 뉴스 Daniel Sedin wins Art Ross https://web.archive.[...] 2011-04-11
[5] 웹사이트 Art Ross Trophy http://www.nhl.com/i[...] National Hockey League 2007-08-20
[6] 문서 ロックアウトのため短縮されたシーズン
[7] 웹인용 Art Ross Trophy http://www.nhl.com/i[...] National Hockey League 2007-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